본문 바로가기
세상속 정보잇슈

쓰나미, 해일 발생때 피하는 방법

by 예준 파파 2011. 3. 17.
반응형

해일 때는
TV나 라디오를 통한 기상상황이나 해일정보 등을 주의 깊게 들읍시다.
해안 저지대 주민은 비상상황 발생 때를 대비하여 대피장소 및 대피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해안에서 진동을 느꼈을 경우나 지진해일 경보를 들으면 즉시 높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물이나 전기가 끊기는 것에 대비하여 마실 물, 식료품, 손전등, 라디오 등을 준비합시다.
대피에 대비하여 비상 소지품을 챙겨둡시다.
집 주변에 있는 물건을 치우거나 고정해 둡시다.
현관 문턱, 개구멍 등 물이 들어올 수 있는 곳을 막아둡시다.
집 주변 하수구가 흙이나 쓰레기로 막혀있는지 확인하고 제거합시다.
방이나 거실의 침수에 대비하여 중요한 물건은 높은 곳으로 옮깁시다.
외출을 하지 맙시다.
한 번이라도 해일피해 경험이 있었던 지역 주민들은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간단히 짐을 싸두고 피난대피시설을 확인합시다.
 해일 발생 때는
태풍 시에는 해일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대풍 행동요령에 맞춰 행동합시다.
매우 심한 지면진동을 느끼면 가까운 곳에서 큰 지진이 난 것이므로 해안지역의 주민은 즉시 높은 지대로 대피합시다.
해일발생 우려 시에는 사전대비와 안전조치를 취합시다.
수영, 보트놀이, 낚시, 야영 등을 즉시 멈추고 바닷가나 주택 및 지하실에서 나와서 대피합시다.
가까운 행정기관의 전화번호는 온 가족이 알 수 있는 곳에 두고 이웃 간의 연락방법을 알아둡시다.
공사 중인 현장에서는 작업을 중지하고 떠내려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는 기자재들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킵시다.
 미처 대피 못한 때는
1층보다는 2층, 2층보다는 3층, 경우에 따라서는 지붕이 안전하니 높은 곳으로 이동합시다.
목조 주택은 떠내려갈 가능성이 있으니 벽돌이나 철근콘크리트 건물로 이동합시다.
해안에 가까울수록 위험하므로 해일이 발생하면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급경사가 없고 지형이 높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곳은 직접적인 파도의 영향이 없으므로 바닥에서 높이가 2~3m만 높아도 비교적 안전합니다.
반응형

'세상속 정보잇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협 피싱 신고해버리다.  (2) 2012.04.05
쓰나미, 지진 해일을 피하는 방법  (0) 2011.03.17
지진 피해를 줄이려면  (0) 2011.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