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대한인데, 아침에 나와보니
온세상이 하얗다.
이번 겨울 들어 첫폭설.
아침출근하려고 나와보니
엄청나게 쌓여있네..
녹은것 빼고 10센티미터 이상 쌓인듯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 대한(大寒)은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 있으며 매듭을 짓는 절후이다. 양력 1월 20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黃經)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으로 갈수록 추워진다. 소한 지나 대한이 일년 가운데 가장 춥다고 하지만 이는 중국의 기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사정이 달라 소한 무렵이 최고로 춥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처럼 대한이 소한보다 오히려 덜 춥다.
[출처 : 네이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온세상이 하얗다.
이번 겨울 들어 첫폭설.
아침출근하려고 나와보니
엄청나게 쌓여있네..
녹은것 빼고 10센티미터 이상 쌓인듯
24절기 가운데 마지막 스물네 번째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의 절기. 대한(大寒)은 음력 12월 섣달에 들어 있으며 매듭을 짓는 절후이다. 양력 1월 20일 무렵이며 음력으로는 12월에 해당된다. 태양이 황경(黃經) 300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立冬)에서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으로 갈수록 추워진다. 소한 지나 대한이 일년 가운데 가장 춥다고 하지만 이는 중국의 기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사정이 달라 소한 무렵이 최고로 춥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처럼 대한이 소한보다 오히려 덜 춥다.
[출처 : 네이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반응형
'세상속 정보잇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점은 12개 (0) | 2017.02.03 |
---|---|
동지 (0) | 2016.12.21 |
탄핵가결 헌정사상 2번째 (0) | 2016.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