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18 민주화운동(광주민중항쟁)
1980년 5월 18일~27일
전남 및 광주 시민들의 계엄령 철폐와 전두환 퇴진 등을 요구하며 벌인 민주화운동.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된 후 전두환등의 신군부가 최규하 정부를 유명무실하게 함.
정승화 계엄 사령관을 대통령 시해 사건의 용의자로 체포
군부 권력을 장악한 12·12 사태 발생.
전두환의 신군부 세력이 군사독재를 연장하려고 했고, 학생을 중심으로한 수만명의 시민들이
1980년 5월 15일. 서울역에서 계엄 철폐 등을 주장하며 시위를 벌임.
그러나, 사태 추이를 지켜보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어 해산하게 됨.
1980년 5월 17일. 계엄령을 오히려 전국적으로 확대한다는 발표
학생 지도자들 체포, 휴교령 등의 민주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시작.
1980년 5월 18일. 전남대생 200여명은 휴교령이 내려진 학교에 들어가려다 계엄군과 투석전을 벌임.
부상당한 학생들을 보고 합세한 시민들과 시위를 벌임.
이때, 계엄군의 폭력 진압으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며
광주민중항쟁의 발단이 되어짐.
1980년 5월 19일. 시위대가 5,000여명이상으로 불어남.
계엄군은 장갑차를 앞세우고 착검한 총으로 시위대 진압
1980년 5월 20일. 20만명의 시민 군경의 저지선 뚫고 시청건물 장악
계엄군은 모든 시외 전화를 두절시키고 광주를 고립상태로 만듦.
이날, 밤 11시경 계엄군은 시민에게 실탄 발포를 시작.
1980년 5월 21일. 계엄군의 발포로 수십여명 사망
이에 시민들 또한 시민군을 만들어,
경찰서나 계엄군으로부터 탈취한 소총으로 무장을 시작.
1980년 5월 22일. 5월 22일
시민들은 계엄군을 몰아내고 도청 차지 '5.18사태 수습 대책 위원회'를 결성
계엄군의 협상 거부로 협상 결렬
1980년 5월 27일. 계엄군의 총공세로
많은 희생자를 낸 광주 민주화 운동이 끝이 남
한국의 사회운동은 광주민주화운동을 계기로 70년대의 지식인 중심의 운동에서
민중운동으로의 변화, 국민들의 대미인식(對美認識) 변화, 사회운동의 목표로
민족해방·사회주의 등이 본격적으로 거론되는 기점이 됨.
이 후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준거가 된 이 사건은
발발 당시에는 불순분자와 폭도들에 의한 난동으로 규정되었다가,
1988년 6공화국 출범 직후 국회에서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정식 규정,
1988년 11월 사건규명을 위한 국회청문회가 개최.
1995년에 '5.18특별법'이 제정되었으며
1997년엔 5월 18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다.
당시 신군부세력이였던 전두환, 노태우는 95년 구속되었으나
97년 사면되었고 98년 복권되었다.
출처참조 : [네이버 지식백과] 5.18 민주화운동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님을 위한 행진곡 가사 |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한평생 나가자던 뜨거운 맹세
동지는 간데없고 깃발만 나부껴
새날이 올 때까지 흔들리지 말자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깨어나서 외치는 뜨거운 함성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세상속 정보잇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대 중증질환 보장강화계획 (0) | 2016.05.23 |
---|---|
페브리즈 유해성, 페브리즈도 유해물질?,제2의 옥시되나.. (2) | 2016.05.17 |
옥시 사건 정리,OXY, 옥시 사태 정리, 나도 가습기 살균제의 피해자.. (0) | 2016.05.16 |